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2 | 3 | 4 | 5 |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 도커
- docker
- django
- Git
- EC2
- aws
- DjangoRestFramework
- 코루틴
- CI
- Transaction
- Continuous Delivery
- 백준
- annotate
- nestedfunction
- Coroutine
- QuerySet
- Python
- to_attr
- racecondition
- aggregate
- testcase
- CD
- Continuous Deployment
- dry-yasg
- apitestcase
- DjangoCache
- database
- DRF
- Prefetch_related
- F객체
- Today
- Total
BackEnd King KY
나의 첫 번째 회사 기술블로그 작성 : 하루 트래픽이 5배 이상 늘어난 날, 서버 개발팀의 대응 기록 본문
링크
하루 트래픽이 5배 이상 늘어난 날, 서버 개발팀의 대응 기록
후기
개발자라는 꿈을 갖게 되면서 내가 회사에 들어가면 가장 해보고 싶었던 것 중 하나는 팀 개발 블로그 작성이었다.
특히, 취업준비하며 여러 회사의 블로그를 보고 회사들의 개발문화도 볼 수 있었고 블로그가 회사 어필에 도움이 된다고 생각해서 좋은 주제로 써보고 싶었다.
또한 트래픽 증가 대응은 누구나 할 수 없는 귀중한 경험이기 때문에 나의 경험을 공유하고자, 그리고 우리 회사는 대응 능력을 갖춰 유저들이 서비스 이용에 큰 문제없게 할 수 있다는 걸 알리고 싶었다.
그리고 이번 블로그를 쓰며 라인의 신년 트래픽 대응, 네이버의 트래픽 급증 대응, 인프런 장애 회고 등을 봤는데 어느정도 인프라와 시스템을 갖춘 빅테크가 아닌 소규모 스타트업의 대응 기록이 희소성이나 더 많은 회사들에게 더 도움이 되지 않을까 싶었다.
그래서 이러한 생각들을 가지고 이번 트래픽 대응 경험에 대 써도 되는지 회사에 먼저 내가 제안했다.
감사하게도 회사에서 승인해주었고 2일 만에 조회수 1,000회 9일 만에 2,000회의 조회수를 기록했다. (그 후로 계속 증가 중)
이후 팀 블로그 자체 조회수 증가 및 팀 미디엄 팔로워 증가 등 팀 좋은일에 기여하게 되어 더 의미있었다.
블로그를 쓰고 난 후, 개발 블로그의 경우 작성 허들이 낮았으면 좋겠다. 정말 큰 일만 쓰는 게 아닌 개발하며 알게 된 걸 노션에 적어 팀원에게 공유하는 것처럼 자주 쓰고 싶다고 건의했다.
어떻게 될 지는 모르겠지만 좋은 블로그 글을 써서 회사의 좋은 개발 문화를 알리고싶다.
'일상' 카테고리의 다른 글
2022년 상반기 회고 (0) | 2022.07.03 |
---|---|
위코드 Talk Concert to 35기 (2) | 2022.02.22 |
블로그 이주 (0) | 2022.02.13 |